[Github blog] 1: 생성해보자
[깃 블로그]를 생성해보자 #1
여러 블로그를 참고하여 깃 블로그를 개설하고 이것저것 만져보았다. 깃 블로그는 처음 가공이 좀 어려운 편이지만, 만들고 나면 마크다운 파일을 작성하거나 일부 편집은 다른 블로그와 난이도가 비슷하다.
참조 블로그: 깃 블로그 만들기
1. 깃허브 가입하기
깃 블로그는 깃 레포지토리를 이용하기 때문에, Github 계정이 있어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깃 블로그를 생각하는 사람 대부분은 계정이 있겠지만, 없다면 위 하이퍼링크에서 가입하자.
나중에 이렇게 레포지토리를 만들 수 있다.
(왜 두 개인가요?: 테마 가져와서 블로그 개설할 때부터 애를 많이 먹어서… 블로그 지웠다 만들었다 했었기 때문…)
참고로, 뒷부분에서 언급하겠지만 블로그 주소는 아이디? 닉네임?을 그대로 적는 경우가 많으므로 계정을 새로 생성한다면 이름 적을 때 참고하자.
2. Jekyll 테마 찾기
Jekyll은 텍스트 파일을 블로그 형식으로 바꾸어주는 사이트 같은 것이다. Jekyll 테마는 정~~말 많다. 취향인 걸 골라서 쓰면 되는데, 이때 예쁘기만 하다고 받기보다는 가공하기 좋은 걸 다운받는 게 낫다.
가공하기 좋은 건 어떤 테마냐 하면… … 그냥 여러 개 받고 판단해보자. 나도 이 블로그 테마와 shell 컨셉 테마를 받았었는데, 결국은 이게 더 좋아서 이걸 쓰고 있다.
Jekyll 테마 사이트는 아래와 같다.
- http://jekyllthemes.org/
- https://jekyllthemes.io/
- 이건 다른 분이 정리해둔 추천 테마 10가지 https://imsoftpro.tistory.com/74
나는 3번째 링크의 Mediumish 테마를 사용하고 있다. 물론 다른 Jekyll 테마 사이트를 찾아보다가 발견한 것이지만, 깔끔하고 보기 좋아서 사용하게 되었다.
어쨌든, 마음에 드는 Jekyll 테마를 찾자!
3. 레포지토리 복사하기
마음에 드는 테마를 찾으면, 이제 내 레포지토리에 복사할 차례이다.
위 이미지처럼 내 깃허브에 folk를 만들거나, 다운로드 후 레포지토리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테마를 가져올 수 있다.
4. 레포지토리 이름 수정하기
우선은 내 깃허브에 생긴 레포지토리가 public
인지 확인하자. private
이라면 공개로 바꿔주어야 남들이 블로그를 볼 수 있다. (아니어도 볼 수 있는 것 같긴 하던데, 그냥 우리도 공개 테마를 가져오는 거라면 많이 수정하지 않는 이상 비공개로 둘 이유가 있나 싶기도 하다…)
레포지토리 이름은 setting → repository name 에서 수정할 수 있다.
이렇게 바꿀 수 있는데, 보통은 계정명.io로 많이 사용한다고 한다. 나는 계정명이 아니라 다른 주소로 해보려고 시도했었는데, 오류는 크게 없던 것 같지만 결국 남들이 주로 하는 방식을 따르기로 했다. 어차피 레포지토리는 삭제하고 다시 folk 해와도 되니 편하게 이것저것 해봅시다.
이것이 나의 깃 블로그 주소가 된다!
5. 사이트 배포
이름을 수정하면, 이제 공개적으로 블로그를 운영하기 위해 페이지를 배포해야 한다.
Pages 설정에 들어가면,
이런 페이지를 볼 수 있다.
visit site로는 내 블로그를 직접 볼 수 있다. (물론 주소로도 들어갈 수 있다!) 그 전에 아래 빨간 상자도 저렇게 되도록 체크해준다.
6. 깃 블로그 개설 완료!
깃 블로그가 개설되었다!
하지만 완전 초기 단계로 복사해온 레포지토리를 그대로 보여주기 때문에, 샘플 포스트나 레이아웃들을 수정하고 싶을 수도 있다.
내 블로그 역시 Mediumish 테마에서 이것저것 수정한 결과이므로, 다음 포스트에서는 자잘한 팁을 정리하겠다.